전세사기의 대표적인 유형
전세사기는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며, 주로 세입자의 전세보증금을 가로채는 방식이에요. 대표적인 전세사기 유형을 살펴볼게요.
1. 보증금을 가로채는 ‘먹튀형’ 사기
👉 집주인이 보증금을 돌려주지 않고 잠적하는 경우
사례:
세입자가 계약이 끝나서 이사를 가려는데, 집주인이 “돈이 없다”거나 연락을 끊어버리는 경우예요. 세입자는 소송을 진행해야 하지만, 법적 절차가 길어지고 보증금을 온전히 돌려받지 못할 위험이 커요.
예방 방법:
✅ 집주인의 재정 상태(대출 여부, 세금 체납 여부) 확인하기
✅ 전세보증보험 가입하기
2. 깡통전세 사기
👉 집값보다 전세보증금이 더 높은 경우
사례:
집주인이 대출을 많이 받아 놓은 상태에서, 집값이 하락하면 세입자가 보증금을 돌려받기 어려워요. 예를 들어, 집값이 2억 원인데 전세보증금이 1.8억 원이라면 전세가율이 90% 이상이라 위험해요.
예방 방법:
✅ 전세가율 80% 이하인 매물 선택하기
✅ 계약 전 등기부등본 확인하여 집주인의 대출 상태 체크하기
3. 허위 계약서를 이용한 사기
👉 집주인이 아닌 사람이 임대 계약을 하는 경우
사례:
- 가짜 집주인 사기: 실제 소유주가 아닌 사람이 임대 계약을 맺고 보증금을 받아 도망가는 경우
- 이중 계약 사기: 같은 집을 여러 명과 전세 계약을 체결해 보증금을 여러 번 받는 경우
- 압류·경매 예정 사기: 집이 이미 경매로 넘어갈 예정인데도 이를 숨기고 전세 계약을 체결하는 경우
예방 방법:
✅ 등기부등본 확인하여 집주인이 맞는지 확인
✅ 집이 경매·압류 상태인지 체크
4. 신탁 사기 (위탁 관리된 집 전세계약)
👉 신탁회사 동의 없이 집주인이 전세 계약을 하는 경우
사례:
집이 신탁회사(은행 등) 소유인데도, 집주인이 세입자와 직접 전세 계약을 맺고 보증금을 가로채는 경우예요. 이런 경우, 세입자는 법적으로 보호받기 어려워요.
예방 방법:
✅ 등기부등본에서 ‘신탁등기’ 확인
✅ 신탁회사에 전세 계약 가능 여부 문의하기
5. 대항력과 우선변제권을 막는 사기
👉 세입자의 법적 보호를 막기 위한 사기 수법
사례:
- 전입신고를 하지 못하도록 계약서에 “전입신고 금지” 조항을 넣는 경우
- 확정일자를 못 받도록 유도해, 경매 시 보증금 우선 변제권을 없애는 경우
예방 방법:
✅ 계약 후 즉시 전입신고 & 확정일자 받기
✅ 전세권 설정 등기를 통해 법적 보호받기
전세사기 예방을 위한 필수 체크리스트
✔ 등기부등본 확인: 집주인이 맞는지, 대출이 얼마나 있는지 확인
✔ 전세가율 80% 이하인지 체크: 깡통전세 위험 방지
✔ 전세보증보험 가입: 보증금을 돌려받을 안전장치 마련
✔ 신탁 등기 여부 확인: 신탁회사 동의 없이 계약하는 집 피하기
✔ 전입신고 & 확정일자 받기: 법적 보호를 위해 필수
전세 계약을 할 때는 서두르지 말고, 하나하나 꼼꼼하게 확인하세요! 🏡